정제의 코팅 공정은 약의 맛과 냄새를 개선하여 복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코팅 기술은 당의 코팅으로 시작되어 필름코팅 기술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오파드라이'라는 코팅제가 발전함에 따라 의약품의 색상과 코팅 정도가 균일하게 발전하였습니다. 오늘은 코팅 공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정제 코팅의 목적정제는 나정으로도 유통되며, 코팅 공정을 거칠 경우 작업공수와 단가가 더 소요될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로 정제 코팅 공정을 실시합니다. ● 약의 맛과 냄새, 색상의 개선: 특유의 냄새를 가진 약물들이 있으며, 이는 환자가 복용하기에 어려울 정도의 냄새도 있습니다. 또한 약물의 맛이 쓰고 색상이 환자에게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코팅 공정을 실시하기..

의약품은 제조방법, 투여경로, 형상 및 제형, 그리고 물리적 특성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제제로 분류합니다. 오늘은 경구로 투여하는 제제 중 정제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정제란? 대한민국약전 [별표 2] 제제총칙에 따르면 정제는 경구투여하는 제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정제는 주원료 및 부원료를 혼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압축하여 만든 고형제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제는 체과, 혼합, 연합 및 제립, 건조, 타정, 코팅, 선별, 포장의 공정을 거쳐 시판용 의약품으로 판매됩니다. 정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 비용이 적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의약품 제형으로 취급이 편리하고 일정한 분량의 주성분(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용량을 조절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코팅 ..